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 모래의 비중 시험 방법 1. 시험 개요 및 목적 가) 비중(specific gravity, G) : 표준상태(4℃, 1 기압)에서 그 물체와 같은 부피를 갖는 증류수에 대한 물체 무게의 비. G = 물체의 무게 / 물체와 부피가 같은 4℃증류수의 무게 = Ws/W0 토질역학에서 흙의 비중이라 함은 토립자 비중(Gs)을 의미한다. 나) 흙의 비중은 흙의 기본 성질인 공극비와 포화도를 아는 데 필요할 뿐 아니라 흙의 견고한 정도나 유기질토에 있어서의 유기물 함유량을 구하는 데에 이용되며, 이를 위해 흙의 비중 시험을 하는 것이다. 이번 시험에서는 모래를 이용하여 시험을 통해 모래의 비중을 확인하려 한다. 2. 시험 준비물 가) 비중병(100㎖), 알코올 온도계, 알코올 램프, 모래, 정밀 저울 3. 안전 및 유의 사항 가) 시료는.. 2023. 1. 5. 체분석 시험 방법 1. 시험 개요 및 목적 개요 및 목적 :200번체를 통과하지 모하는 입자 즉, 입경이 0.075mm 이상인 토립자에 대하여는 체분석으로 입자의 크기에 따른 분포상태를 알 수 있다. 토립자의 크기가 체눈의 크기보다 작으면 통과하고 크면 체에 잔류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각 체에 남아있는 흙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하여 체눈의 크기 에 따라 정리하여 가적통과율을 계산하면 입도분포곡선을 그릴 수 있다.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입도분포 상태에 따라 흙을 분류하고 흙의 명칭을 부여 할 수 있다. 2. 시험 준비물 #4,#10,#60,#100,#200체, 시료, 정밀 저울 3. 시험 방법 및 순서 시료의 무게를 측정 한다. 시료의 무게 측정 = 시료+팬의 무게 = 960-293 = 667g 시료를 표준체에 넣고 흔든다.. 2023. 1. 4. 들밀도 시험 ( 현장 건조단위중량 시험) 1. 시험 개요 및 목적 개요 및 목적 :이 시험은 흙의 단위중량을 현장에서 직접 구하기 위한 것이다. 흙의 단위중량은 흙의 단위체적당 중량을 말하며, 중량으로써 흙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의 양자를 고려할 경우를 습윤단위중량, 흙입자만을 고려할 경우를 건조단위중량이라 말한다. 측정지반의 단위중량을 얻기 위해 측정지반의 흙을 파내어 구멍을 뚫고, 그 흙의 중량과 시험구멍의 체적을 측정한다. 구멍의 체적측정방법은 KSF에서는 모래치환법에 의하여 구하고 있다. 현장에서의 흙의 단위중량은 노상, 노반, 흙구조물 등의 다짐정도를 측정하여, 설계 및 시공관리 등에 이용한다. 이 시험방법은 KS F2311에 규정되어 있다. 도로의 노상, 노반 또는 흙구조물 등의 다짐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중량을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기.. 2023. 1. 4. 액성한계 시험 방법, 목적 - 애터버그의 한계 액성한계 시험 1.시험의 개요 세립토는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고체 상태로부터 반고체 상태, 소성 상태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때 소성 상태와 액체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liquid limit),라고 정의한다.액성한계는 입자의 치수는 물론 흙의 화학성분과 광물성분 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이온 등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액성한계의 값과 동일한 함수비를 가지고 있는 흙은 어떤 흙이든 최소값의 전단강도를 가진다. 따라서 자연함수비가 액성한계를 넘어서면 그 흙의 전단강도는 거의 무시할 수 있다. 2.시험의 목적 액성한계는 흙을 공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널리 이용되며, 때로는 세립토의 종류를 판별하는 데 쓰여진다.이 값들이 설계에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 설계에 쓰여지는 중요한 계수를 이.. 2023. 1.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