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시험 개요 및 목적
- 개요 및 목적 :200번체를 통과하지 모하는 입자 즉, 입경이 0.075mm 이상인 토립자에 대하여는 체분석으로 입자의 크기에 따른 분포상태를 알 수 있다.
- 토립자의 크기가 체눈의 크기보다 작으면 통과하고 크면 체에 잔류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각 체에 남아있는 흙의 무게를 저울로 측정하여 체눈의 크기 에 따라 정리하여 가적통과율을 계산하면 입도분포곡선을 그릴 수 있다.
- 입도분포곡선으로부터 입도분포 상태에 따라 흙을 분류하고 흙의 명칭을 부여 할 수 있다.
2. 시험 준비물
- #4,#10,#60,#100,#200체, 시료, 정밀 저울

3. 시험 방법 및 순서
- 시료의 무게를 측정 한다.
- 시료의 무게 측정 = 시료+팬의 무게 = 960-293 = 667g

- 시료를 표준체에 넣고 흔든다.


- 각 체에 남은 시료(모래) 의 무게를 잰다.










- 각 체에 남은 시료의 무게
- - 4번체 : 562-528 = 34g
- - 10번체 : 588-487 = 101g
- - 60번체 : 807-376 = 431g
- - 100번체 : 403-359 = 44g
- - 200번체 : 384-348 = 35g
- 200번체 통과분 : 314-293 = 21g
4. 시험의 결과
- 시험의 결과
- 시험에서 도출 된 결과를 살펴보면, 각 체에 남은 시료의 무게
- - 4번체 : 562-528 = 34g
- - 10번체 : 588-487 = 101g
- - 60번체 : 807-376 = 431g
- - 100번체 : 403-359 = 44g
- - 200번체 : 384-348 = 35g
- - 200번체 통과분(pan) : 314-293 = 21g
- 시험에서 도출 된 결과를 살펴보면, 각 체에 남은 시료의 무게
- 가적 통과율 계산
체 번호 | 직 경(mm) | 잔류중량(g) | 잔유율(%) | 가적 잔류율(%) | 가적 통과율(%) |
#4 | 4.75 | 34 | 5.10 | 5.10 | 100 |
#10 | 2.0 | 101 | 15.24 | 20.34 | 79.66 |
#60 | 0.25 | 431 | 64.71 | 85.05 | 14.95 |
#100 | 0.15 | 44 | 6.7 | 91.75 | 8.25 |
#200 | 0.075 | 34 | 5.10 | 96.85 | 3.15 |
pan | 0 | 21 | 3.15 | 100 | 0 |
반응형
'토목 > 토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래의 비중 시험 방법 (0) | 2023.01.05 |
---|---|
들밀도 시험 ( 현장 건조단위중량 시험) (0) | 2023.01.04 |
액성한계 시험 방법, 목적 - 애터버그의 한계 (0) | 2023.01.04 |
소성한계 시험방법 (0) | 2023.01.04 |
댓글